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독서

먹고 늙는 것의 과학을 읽고 느낀점(3)

by 인동후니 2023. 9. 22.
728x90
반응형
728x170

 

 


독서 후 남기고 싶은 부분만 발췌, 기록한 일기

책 : 먹고 늙는 것의 과학
저자 : 류형돈
독서 : 171 - 331


늙고 싶은 사람이 있을까


나이를 먹고 싶은 사람이 있을까? 정확히는 '나이를 먹어감을 느낄 수 있는 신체의 변화를 좋아하는 사람이 있을까'라는 질문이 맞을까. 인간은 20대가 지나면 서서히 노화가 진행된다고 한다. 외모에 가꾸는데 취미가 없어서 거울을 잘 보지 않지만 거울을 볼 때마다 얼굴에 늘어난 주근깨와 눈가 주름으로 인해 마음 한편이 쓰려온다.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하면서 그저 태연하게 받아들이려고 한다.

인간과 포유동물은 모두 늙는다. 하지만 종류마다 개별마다 노화의 속도가 모두 서로 다르다. 그리고 DNA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내 친구들 중에서도 벌써 흰머리가 가득한 친구들이 있는 반면 관리를 잘해서 아직도 20대 때의 피부를 가지고 있는 친구도 있다. 관리의 힘인지 유전의 힘인지는 모르겠지만...

다세포 동물들이 나오긴 지구에는 단세포생물들만 있었고, 이 생물들은 시간이 지나 성장을 하면서 세포 구성을 공평하게 절반을 나누어 개체 숫자를 증식하였다. 충분한 공간과 영양분이 있다면 노화 없이 무한대로 증식이 가능하다고 했다. 하지만 이후 진핵세포가 여러 개 모여서 형성되는 동물들과 식물들이 등장하면서 노화현상이 나왔다고 한다. 우리는 박테리아처럼 이분법으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생식 세포를 통한 번식을 통해서 번식을 한다.

종을 번식시키는 방법은 크게 2가지다. 오래 살거나 자손들을 많이 만드는 방법이다. 그리고 생물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종을 보존해왔다. 초식동물들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고 번식력이 강하다. 반대로 덩치가 큰 동물일수록 수명은 길어지고 새끼를 적게 좋은 습성이 있다. 요즘에는 신체 노화도나 DNA 등을 분석해서 신빙성 높게 수명을 예측하기도 한다. 우리의 수명이 정해져있다니 현실적이면서도 약간 슬픈 감정이 들기도 한다.

장수를 한 사람들은 고기를 많이 먹지 않았다고 한다. 농사를 통한 작물이 주식이 되면서 어쩔 수 없는 과정이었으나 오히려 수명을 더 늘이게 되었다니 아이러니 한 부분이 아닌가. 인구가 늘어만만큼의 고기를 구하기도 어렸었겠지만 냉장, 냉동고가 없는 시절에는 신선한 고기를 구하기가 어려웠을 것 같다. 고기가 왜 중요했을까? 세포들이 분열하고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단백질 합성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단백질을 적게 섭취할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은 노화가 빨리 진행하지 않는 걸까. 결국은 세포는 활성화되고, 활성화될수록 노화가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자식의 생존을 돕기 위해는 암컷보다는 수컷이 더 큰 역할을 하다 보니 여성들은 적당한 나이에 생식기능이 없어지는 현상으로 진화된 것은 아닐까 하고 책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모수는 얼마 되지는 않지만 남성의 생식기능을 없앨 경우 수명이 조금 더 늘어났다고 한다.. (그래서.. 역사적으로 내시들이.. 오래오래 살면서 다 헤쳐먹은 건가 싶기도 하다)

나라와 지역에 따라서 수명 및 암 발병률 등이 다르다. 식습관, DNA, 흡연, 운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우리의 노화 속도는 정해진다. 지중해 식단의 효과를 보더라도 항산화 효과가 많은 과일이나 채소를 먹으면 노화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활성화 산소는 세포를 망가트리는 주성분이라고 한다. 그렇기에 이를 줄일 수 있다면 노화를 늦출 수 있다는 한다. 이뿐 아니라 미토콘드리아 등 노화의 주범은 많다. 아직도 과학자들은 인가의 늙지 않은 인간을 만들기 위해서 노화에 대해서 열심히 분석하고 있다고 한다. 진시황제도 불로불사의 꿈을 이루기 위해서 수은까지 마시는 모험을 강행했다.

시간이 흘러가면서 누구든 늙어간다.  노화는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현상이고 나이가 들어가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분명 없다. 하지만 식단을 조절하고 운동을 하는 등 노화를 늦출 수 있는 방법은 조금만 검색해 봐도 알 수 있다. 불로장생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한다면 현재를 가장 열심히 사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지 않을까.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