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후감153 위기의 역사 느낀점 독서 후 남기고 싶은 부분만 발췌, 기록한 일기 책 : 위기의 역사 저자 : 오건영 독서 : 381 - 477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 무엇이 우선되어야 할까? 앞선 경제 위기들이 지금의 MZ 세대들에게 다가올 수 없는 과거의 이야기였다면 코로나 팬데믹으로 발생한 경제 위기는 어떨까? 다들 직·간접적으로 체험을 하고 있을 것이다. 사실 이 또한 과거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재 진행형의 위기다. 금융위기 때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엄청난 양적 완화를 했다. 연준을 포함한 수많은 경제 주체들은 저금리를 통한 유동성 증가가 경제를 살리기 위한 답이라는 것을 깨달았고 코로나로 인한 경제가 악화가 보이자 다시 무제한 양적완화를 시작했다. 물가가 과열이나 침체 그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을 때는 성장에 초점을 .. 2023. 11. 12. 위기의 역사 요약 독서 후 남기고 싶은 부분만 발췌, 기록한 일기 책 : 위기의 역사 저자 : 오건영 독서 : 233 - 379 금융위기 때 세계는 도미노처럼 쓰러졌다. 사실 2007 ~ 2008년 사이에 벌어진 금융위기 또한 전 세계를 흔드는 강력한 경제적 위기였었다. 그 당시에도 사회생활을 하고 있지 않았기에 실체로 그 위기를 체감하지는 못했다. 금융위기는 미국뿐 아니라 신흥국에 투자했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런을 외치면서 신흥국의 주식, 채권, 통화가치 등 모든 것의 가치를 무너뜨려버렸다. 금융위기의 도미노는 어떻게 발생했을까? 금융위기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발생했다. 은행들이 저신용자들에게 무분별하게 대출을 해주었고, 이 주택 담보대출들을 모아서 큰 금액의 모기지 채권으로 만드는 모기지 회사가 등장했다. 그.. 2023. 11. 12. 위기의 역사 줄거리 독서 후 남기고 싶은 부분만 발췌, 기록한 일기 책 : 위기의 역사 저자 : 오건영 독서 : 136 - 231 버블의 역사는 반복된다 경제의 사이클은 항상 반복된다. 부동산도 주식도 마찬가지다. 상승이 있으면 하락이 있고, 하락이 있으면 그다음 상승이 오는 것은 당연한 원리다. 하지만 상승의 끝자락에는 광기라는 이름으로 하락에는 공포로 인하여 버블이 만들어지고 우리 같은 일반 투자자는 쉽사리 수익을 얻기 어렵다. 크게 위기는 2가지 종류가 있는 것 같다. 내부적인 위기냐 아니면 외부적인 위기냐 등으로 말이다. IMF가 내부적인 위기였다면 금융위기, 닷컴버블 등은 외부로부터 발생한 위기라고 보면 될 것 같다. 참 아쉬운 것은 우리나라는 수치상으로는 세계 10대 강대국에 포함됨에도 불구하고 수출에 의존해야만.. 2023. 11. 12. 위기의 역사 독후감 독서 후 남기고 싶은 부분만 발췌, 기록한 일기 책 : 위기의 역사 저자 : 오건영 독서 : 9 - 135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큰 단절은 IMF 외환위기였다. 사실 나는 IMF를 직접적으로 경험을 했던 나이는 나이다. 하지만 나의 어린 시절을 돌아보면 우리 집의 경제 상황을 IMF 외환위기 전후로 나뉘었었던 것 같다. 부산 소재의 중견기업에 근무하셨던 아버지는 IMF의 위기를 피할 수 없었고 그 이후에 나는 많은 것을 포기했어야만 했었던 것 같다. 나보다 10년 이상 사회생활을 먼저 경험한 선배들에게 물어보면 IMF는 지금의 경제 상황과 비할 수 없을 만큼 큰 위기였었다고 한다. 은행, 증권사, 종금사 등의 대부분 금융기관들뿐 아니라 당시 많은 기업들이 파산되었다고 한다. 많은 기업들이 파산되었.. 2023. 11. 12.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39 다음 반응형